메뉴 닫기

2023년 수능 수험생을 위한 4가지 방역 정보

2023학년도 수능 시행 원활화 대책 발표되었습니다. 다음 달 17일 치러지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험장이 감염병 확산 예방을 위해 일반 수험생과 격리대상 수험생이 응시하는 시험장으로 구분 운영됩니다. 2023학년도 수능은 2022년 11월 17일(목) 8시 40분부터 17시 45분(일반수험생 기준)까지 전국 84개 시험지구 1,373개 시험장에서 실시되며, 응시자는 전년보다 1,791명 감소한 508,030명입니다.

2023년 수능 수험생을 위한 방역 정보

수능 코로나19 대응 방역관리

교육부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험장에서의 감염병 확산 예방을 위해 ‘일반 수험생’과 ‘격리대상 수험생’이 응시하는 시험장을 구분해 운영합니다. 시험장 출입은 수능 당일 6시 30분부터 가능하며, 시험실 입실은 8시 10분까지 완료되어야 합니다.

  • 10월 18일(화) 기준, 일반 수험생 대상 시험장을 1,265개 지정
  • 시험장 내에 시험 당일 유증상자를 위한 분리 시험실을 마련할 예정
  • 코로나 확진으로 시험일 당일 격리 중인 수험생이 응시할 수 있는 별도 시험장은 전국에 총 108개 마련
  • 입원치료 중인 수험생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수험생용 병원 시험장을 전국에 24개소 지정
수능 코로나19 대응 방역관리

수능 격리대상 수험생 발생 상황을 점검

격리대상 수험생 발생 시 해당되는 시험장에 사전에 배정할 수 있도록, 대학수학능력시험 2주 전부터 격리대상 수험생 발생 상황을 점검(모니터링)하는 등 상황 관리를 실시합니다.

  • 교육부는 질병관리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함께 ‘공동 상황반’을 운영하여 수능 원서접수자 중 격리대상자 현황을 파악
  • 격리의무 기간(7일)을 고려하여, 11월 11일(금) 이후 격리통보를 받은 수험생은 사전에 지정된 별도 시험장으로 배정
  • 당일에 한하여 외출 허용을 받아 별도 시험장에서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응시
  • 코로나19 확진으로 입원치료 중인 수험생은 병원 시험장에서 시험에 응시

시험일을 앞두고 확진 또는 격리 통보를 받은 수험생은 신속한 시험장 배치를 받을 수 있도록 즉시 관할 교육청에 알려야 합니다.

수능 전부터 자율방역 실천기간

대학수학능력시험 2주 전

  • 수능 2주 전부터는 ‘자율방역 실천기간(11.3.∼11.17.)’을 운영합니다.
  • 해당 기간 수험생이 많이 다니는 시설(학원․교습소, 스터디카페 등)에 대한 방역점검을 실시
  • 게임제공업소, 노래연습장, 영화상영관 등 수험생 출입 가능성이 있는 시설에 대한 방역관리도 실시할 예정

대학수학능력시험 3일 전

  • 수험생 감염 확산을 예방하고 시험장 방역 조치를 위해 전체 고등학교 및 시험장 학교의 원격수업 전환(11.14.∼11.16.
  • 대학수학능력시험 다음 날(11.18.)도 원격수업 전환을 권고
  • 시도교육청은 지역별 상황을 고려하여 원격수업기간을 조정하여 시행

대학수학능력시험 전날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 전날(11.16.)에 병‧의원 또는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검사 받는 학생의 경우에는, 신속한 조치를 위해 검사 시 본인이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생임을 밝혀야 하며 양성판정 시 검사 결과를 관할 교육청에 즉시 알려야 합니다.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는 수능 수험생

시험장 내 감염병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는 수험생은 인근 병‧의원에 방문하여 신속항원 검사를 받도록 권장합니다.

  • 유전자증폭(PCR)검사 우선순위 대상자는 보건소 선별진료소에 방문하여 유전자증폭(PCR) 검사 가능
  • 신속한 검사결과 확인 필요 시 병‧의원에 방문하여 신속항원검사 실시 권장

관련 게시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