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2023년 미래교육지구 33개 선정

교육청과 지자체가 공동 기획·추진하는 2023년 미래교육지구 33개가 선정되었습니다. 선정된 지구는 일반고 역량강화 등 2023년 중점과제 중심으로 공모, 지구별 1억 원 지원됩니다.

2023년 미래교육지구 33개 선정
2023년 미래교육지구 33개 선정

미래교육지구 33개 선정지역

교육부는 공모를 통해 14개 시도의 총 33개 지역을 2023년 미래교육지구로 선정하였습니다.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선정 지역 구로 서대문 금정 동구 사상 사하 영도 진구 남구 서구 계양 연수 광산 중구 세종 고양 시흥 안양 오산 화성 춘천 제천 청주 논산당진 공주 강진 구례 곡성 순천 영암 의성 고성

미래교육지구가 무엇인가요?

미래교육지구는 교육청과 지자체가 지속가능한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초등 돌봄 등과 같은 주민수요에 기반한 다양한 교육사업을 민‧관‧학이 공동으로 추진하도록 지원하는 교육부 공모사업입니다.

  • 2020년 11개 지구로 시작한 미래교육지구 사업은 지난 3년간 교육지원
  • 기초지자체의 공동협력센터 설립 등 기초단위 민관 협력(거버넌스) 강화
  • 초‧중학교 중심으로 교육지원이 이루어져 지구 내 고등학생을 위한 혜택은 다소 미흡했다는 의견
  • (2020) 11개 지구 → (2021) 22개 지구→ (2022) 33개 지구

2023년 미래교육지구를 새롭게 설계

교육부는 3년간의 운영 결과와 새 정부 지방균형발전 국정기조에 맞추어 2023년 미래교육지구를 새롭게 설계하였습니다.

  • 2023년 중점과제로 일반고 역량강화와 타부처 사업연계를 제안하여, 미래교육지구가 지역의 교육력을 ‘고등학교’ 중심으로 숙의하고, 다른 부처의 각종사업을 ‘지역교육’ 중심으로 재구조화 할 것을 권장
  • 미래교육지구를 지역 내 대학, 기업, 전문가 등의 자원을 고등학생을 지원하는 교육구조로 기획함으로써, 인공지능(AI)‧사물인테넷(IoT)‧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 등 그동안 개별학교에서 경험하기 어려웠던 분야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지구 내 고등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경험의 장을 제공
  • ‘주민자치 교육분과’(행안부), ‘사회적 농업’(농식품부) 등 주민수요에 기반한 타부처 사업*과 ‘교육’ 분야를 연계함으로써 학교, 교육지원청·기초지자체가 지역의 교육의제를 함께 형성해 나갈 예정

미래교육지구 33개 지원 혜택

미래교육지구로 선정된 지역에 1억 원씩을 지원하고, 33개 지구의 교육청-지자체가 공동으로 기획한 교육사업에 대해 체계적인 상담(컨설팅)을 지원합니다.

  • 교육부는 초‧중등교육, 평생 및 지역교육 등 각 분야의 전문가 중심으로 ‘미래교육지구 성장지원단’을 구성하여 성장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지역맞춤형 상담, 미래교육 아카데미, 성장 연수회 등을 진행할 예정
  • 각 지구의 교육청과 지자체가 지역 여건과 상황에 맞춰 공동비전과 목표를 함께 수립하고 2023년 세부계획을 보완할 수 있도록, 지구별 사전 상담(컨설팅)을 12월부터 내년 1월까지 실시
2023년 미래교육지구 성장지원체계
2023년 미래교육지구 성장지원체계
지원내용 지구별 사전 상담(컨설팅) 지구담당자 연수회 성장지원단 연수회 미래교육 아카데미(4회) 성장지원(지구별 3회) 소식지(뉴스레터) 발간(10회) 지구별 상시 점검(모니터링) 성장보고회 및 보고서발간
성장지원 매뉴얼 제작 지구담당자 연수회
일정 2022.12-1월 2-3월 3-4월 3-11월 12월

2023년 미래교육지구 사업

  • (사업기간) 23.1월∼12월
  • (참가방법) 시도교육청, 기초지자체, 교육지원청 공동계획서 제출
  • (지원조건) 지원금액의 100%이상 대응투자(시도교육청, 지자체 합산)

추진내용

목표 미래형 교육자치 지역교육 협력모델 개발
추진 방향 ▪ 지방(교육)자치단체 협력체제로 지역교육격차 해소와 분권 강화 ▪ 학교중심 지역 교육력 강화를 통해 지역주도 균형발전 촉진 ▪ 지역교육공동체 참여와 협력으로 공간적 기회균등 실현
세부 과제 지방중심 협력강화 ▪교육(지원)청-지자체 공동협력체제 구축 ▪공공기관 간 격차·제한·분절을 극복하고 실질적 동참과 협력 활성화(주민자치위원회 교육분과 등) ▪교육지원청 예산·인사 등 일부 권한부여 사례확산
학교자율 책임운영 ▪지역교육과정 거버넌스 기획‧운영 활성화 ▪지역 인재상 합의를 통한 일반고 역량강화 ▪학생 주도성이 발휘되는 지역교육의제 활성화
교육자치 확대 ▪지역 고유성에 따른 교육공동체 활성화 ▪개방과 공유에 기반 한 지역교육생태계 조성

주요내용

  • 지방중심 협력강화
    • (공동협력센터) 지역 간, 지역 내 격차를 해소하고 분권을 강화하는 교육(지원)청-지자체 교육지원 시스템 구축 및 역할 확
    • (주민참여 거버넌스) 다양한 교육주체가 공동체적 의사소통 절차를 통해 지역교육의제 형성, 사업 구성, 예산 확보, 공적 실행
  • 학교자율과 책무강화
    • (일반고 역량강화) 일반고 중심 지역교육 중장기 비전 수립과 학교 활성화, AI와 빅데이터 등 미래 디지털 인재양성 방안 모색
    • (학생 주도성) 학생이 지역사회 일원으로 행정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학습과 일상의 경험을 연계하여 다양한 진로 탐색 가능성 확대
  • 교육자치 사례 확대
    • (부처 내외 사업연계) SW센터, 방과후‧돌봄, 고교학점제, 평생교육, 직업교육, 체육‧예술교육 등 협력센터를 공동으로 활용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지역사회 중심 타 부처 사업과 연계 협력 추진

관련 게시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