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2022년 11월 수출입 동향

본 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와 무역통계(무역협회)를 기초로2022년 11월 수출입 동향을 분석한 것이며 전체 수출입 실적 및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MTI 기준)은 11월 30일까지의 통관기준 잠정치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다만, 연간 통계 확정 시(2023.2월)까지 정정 가능합니다.

2022년 11월 수출입 동향
2022년 11월 수출입 동향

11월 수출입 동향 개요

(수출) 11월 수출은 전년동월(603억 달러)비 △14.0% 감소 519.1억달러

월별 수출액 추이
월별 수출액 추이

(수입) 11월 수입은 전년동월(574억 달러)비 +2.7% 증가한 589.3억달러

월별 수입액 추이
월별 수입액 추이

(무역수지) 11월 무역수지 △70.1억달러 적자

구 분 2021년 2022년
11월 8월 9월 10월 11월
수 출 60,331(+31.9) 56,653(+6.6) 57,208(+2.3) 52,483(△5.7) 51,914(△14.0)
수 입 57,358(+43.6) 66,053(+28.1) 61,023(+18.2) 59,181(+9.9) 58,925(+2.7)
무역수지 +2,973 △9,401 △3,815 △6,698 △7,011

(품목) 주요 품목 중 자동차·석유제품·이차전지·차부품 등 수출 증가

  • (증가 품목) 자동차·석유제품 수출은 두 자릿수 증가
  • (감소 품목) 반도체·석유화학·디스플레이·무선통신 등 수출은 글로벌 수요둔화 등 영향으로 감소
구 분 반도체 석유화학 일반기계 자동차 철 강 석유제품 디스플레이 차부품
수출액 84.5 35.5 43.3 54.0 29.9 48.8 18.0 18.6
증감률 △29.8 △26.5 △1.7 +31.0 △10.6 +26.0 △15.6 +0.9
구 분 바이오헬스 무선통신 컴퓨터 섬 유 선 박 가 전 이차전지 합 계
수출액 10.3 16.3 8.6 9.5 11.2 5.9 7.4 519.1
증감률 △27.3 △18.7 △50.1 △20.0 △68.2 △25.0 +0.5 △14.0

(지역) 9대 주요 지역 가운데 미국·중동·CIS에 대한 수출증가

  • (증가 지역) 對미국 수출은 27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이어감
  • (감소 지역) 글로벌 인플레이션긴축정책 등에 따른 경제성장 둔화 영향으로 중국·아세안·EU·일본·중남미 수출감소
구 분 중 국 미 국 E U 아세안 일 본
수출액 113.8 87.9 53.0 90.8 23.1
증감률 △25.5 +8.0 +0.1 △13.9 △17.8
구 분 중남미 인 도 중 동 CIS 총 계
수출액 18.1 13.9 15.0 12.9 519.1
증감률 △19.1 △5.9 +4.5 +4.6 △14.0

1~11월 누계 기준 수출입 동향 개요

(총괄)22.1~11월 누계 수출액은 전년비 7.8% 증가6,291억 달러

  • 사상 처음으로 11월 중 수출 6천억 달러돌파(11.14일)
구  분 ‘19.1~11월 ‘20.1~11월 ‘21.1~11월 ‘22.1~11월
수  출 496,564(△10.8) 461,166(△7.1) 583,666(+26.6) 629,059(+7.8)
수  입 459,656(△6.4) 422,995(△8.0) 553,934(+31.0) 671,620(+21.2)
수  지 +36,909 +38,171 +29,732 △42,561

(품목) 주요 15대 품목 중 반도체·석유제품·자동차·철강 등 주요품목과 바이오헬스·이차전지 등 신산업 품목이 고르게 증가

구  분 반도체 석유화학 일반기계 자동차 철 강 석유제품 디스플레이 차부품
수출액 1,202 507 465 487 356 582 198 213
증감률 +4.3 +0.7 +2.7 +15.3 +8.7 +70.0 +2.8 +3.3
구  분 바이오헬스 무선통신 컴퓨터 섬 유 선 박 가 전 이차전지
수출액 151 160 149 113 158 75 90
증감률 +4.8 △8.0 △1.5 △2.5 △26.8 △5.4 +13.9
  • 특히, 자동차·석유제품 수출은 글로벌 경기둔화 영향이 본격화된 7월 이후 에도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면서 하반기 수출버팀목 역할 수행
  • 美·EU 등의 친환경 정책 영향으로 시장이 확대 중인 이차전지·전기차, 고부가 품목인 OLED시스템반도체 등 여러 신산업 품목도 1~11월 증가세를 보이며 수출 증가기여

(지역) 주요 9대 지역도 중국·CIS를 제외한 7대 지역 1~11월 수출증가

  • 아세안·미국 등 주력시장과 EU·중동 등 전략시장에 대한 수출이 고르게 증가하며 對中 의존도 완화(’21년25.3% → ’22.1~11월 23.0%)
  • 특히, 對美수출은 처음으로 年 수출 1,000억 달러 돌파(’21년 959억 달러)
구  분 아세안 미  국 EU 중  동 중남미 인  도 일  본 중  국 CIS
수출액 1,156 1,004 618 158 244 174 282 1,446 103
증감률 +18.5 +15.3 +7.3 +13.1 +3.5 +21.7 +3.1 △2.0 △16.3

11월 수출입 동향 주요 특징

(대외여건) 글로벌 경기둔화가 계속되며 우리 수출여건 악화

  • (최근 세계경제 동향) 주요국 금리인상·우 전쟁 장기화 등에 따른 글로벌 경기둔화* 영향으로 각국의 수입 수요둔화되고 있는 상황
    • 국제기구 경제성장 전망(‘22→’23년, %) : (IMF,‘22.10월)3.2→2.7, (OECD,’22.11월)3.1→2.2
    • 국제기구 무역성장 전망(‘22→’23년, %) : (WTO,‘22.10월)3.5→1.0
  • 미국·EU 선진시장은 높은 물가압력 대응을 위한 금리인상 등 영향으로 소매판매 증가세둔화되는 등 경기둔화지속
    • 美 소매판매 증감률(전기비, %) : (‘22.1Q)3.3 → (2Q)2.6 → (7월)△0.4 → (8월)0.7 → (9월)0.0
  • 우리 최대 수출국인 중국은 부동산 침체, 제로 코로나 등 영향으로 경기 부진이 이어지면서 對세계 수입3개월 연속 감소
    • 중국의 對세계 수입증감률(%) : (‘22.1분기)10.9 → (2분기)2.4 → (8월)△0.2 → (9월)△0.4 → (10월)△0.7
  • 아세안 등 신흥시장도 주요국 경기부진 영향으로 對세계 수출 증가세 둔화
    • 베트남 對세계 수출증감률(%) : (‘22.8월)28.2 → (9월)12.4 → (10월)5.2
  • (반도체 동향) 우리 최대 수출품목반도체수요약세·재고누적 등의 영향으로 제품가격 하락세 지속
    • D램 고정가($) : (‘22.7월)2.88 → (8~9월)2.85 → (10월)2.21 → (11월)2.21(△40.4%, 전년동월비)
  • (다른 국가) 최근의 수출 증가세 둔화는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는 제조 기반 수출강국에서 공통적으로 관측되며, 세계 수출 10대 국가 중 한국·미국(’21년 에너지 수출비중 10%)을 제외한 8개국 수출증가율*6월 이후 둔화
    • 8개국 수출증가율(WTO, %) : (‘22.5월)12.2 → (6월)8.5 → (7월)6.5 → (8월)6.5 → (9월)3.9
  • 중국은 ’20.5월 이후 29개월 만에 對세계 수출감소했으며, 일본4월 이후 수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
    • 중국 對세계 수출증감률(WTO, %) : (‘22.6월)17.7 → (7월)18.0 → (8월)7.1 → (9월)5.7 → (10월)△0.4
    • 일본 對세계 수출증감률(WTO, %) : (‘22.6월)△2.0 → (7월)△4.0 → (8월)△0.9 → (9월)△0.9
  • 독일도 ’22.6~7월 수출 감소를 기록
    • 독일 對세계 수출증감률(WTO, %) : (‘22.6월)△0.1 → (7월)△5.0 → (8월)5.7 → (9월)0.9

(품목별 수출) 어려운 상황 속 車·이차전지·석유제품 수출은 증가세 지속

  • 15대 주요품목 중 자동차·차부품·이차전지·석유제품4개 품목 수출 증가
    • ·이차전지 수출역대 11월 최고실적을 경신했으며, 특히 자동차는 지난 7월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수출 50억불을 돌파 및 최고실적 달성
    • 자동차 수출액(억 달러) : (‘22.7월)51.3 → (8월)41.1 → (9월)47.8 → (10월)49.2 → (11월)54.0
    • 다만, 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른 수요약세와 화물연대 운송거부(11.24일~)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반도체·油化·철강 등 주요 품목 수출 감소
구 분 석유제품 자동차 이차전지 차부품 반도체 석유화학
수출액(억달러) 48.8 54.0 7.4 18.6 84.5 35.5
수출 증가율(%) +26.0 +31.0 +0.5 +0.9 △29.8 △26.5
역대 순위 역대 1위 11월 중 1위

ICT 품목

  • (반도체) D램·낸드플래시 등의 제품가격 하락으로 메모리반도체 수출이 줄어들면서 11월 수출은 지난 달(△17.4%)에 이어 감소(△29.8%)
    • D램 고정가($) : (‘21.10~12월)3.71 → (’22.1~4월)3.41 → (5~6월)3.35 → (7~9월)2.85 → (10~11월)2.21
    • 다만, 시스템반도체 수출은 40억 달러 수준을 유지하며 전년비 증가
    • 최근의 수출 감소는 IT 전방수요 약세와 그간의 재고누적 등의 복합적
      영향에 따른 것으로, 반도체 제조업체들의 설비투자 축소계획공급량 조절 등에 따라 내년 하반기 이후 차츰 개선될 것으로 기대
구  분 7월 8월 9월 10월 11월
메모리반도체(억불) 61.7 (△13.5%) 57.5 (△24.7%) 66.2 (△16.7%) 44.7 (△35.7%) 38.4 (△49.7%)
시스템반도체(억불) 46.9 (+40.5%) 46.6 (+31.1%) 45.1 (+20.2%) 43.8 (+17.6%) 42.5 (+8.8%)
  • (무선통신기기) 글로벌 소비 둔화 영향으로 전반적인 스마트폰 수요가 줄어들고 있으며, 中 코로나 봉쇄에 따른 스마트폰 생산 차질 등의 영향으로 최대 지역인 중국으로의 수출감소하면서 전체 수출감소
    • 주요국 무선통신기기 수출증감률(11.1~25일, %) : (중국)△8.2%, (아세안)△25.6%, (미국)△43.0%

  • (디스플레이) 세계경기 둔화에 따른 IT 전방수요 부진 등에 더해, LCD 부문은 OLED 사업전환경쟁심화에 따른 가격하락으로 수출 감소(△15.6%)
  • (컴퓨터) 에너지 인플레이션, 주요국 금리인상 등에 따른 데이터 센터 설비투자 위축 → 기업용 SSD 수요가 줄어들며 수출 감소(△50.1%)

석유제품·중간재

  • (석유제품) 주요 품목인 경유 국제가격 상승세에 더해 EU지역을 중심으로 동절기 대체연료 수요 발생 등에 힘입어 증가세 계속(+26.0%)
  • (철강) 美·아세안·EU 등 주요 시장에서 철강수요둔화세를 보이며 수출단가하락함에 따라 11월 수출 감소(△10.6%)
    • 철강재 수출단가($/톤):(‘21.11월)1,430 → (’22.3월)1,458→ (7월)1,455→ (11월예상)1,208(△15.5%)
  • (油化) 최대시장인 중국일부지역 봉쇄 지속, 대규모 설비증설에 따른 공급과잉 등 영향으로 업황악화되며 11월 수출 감소(△26.5%)
    • 對中 油化 수출증감률 추이(%) : (‘22.8월)△13.3 → (9월)△8.9 → (10월)△20.6 → (11.1~25일)△26.2

자동차

  • (완성차) 車반도체 수급개선高단가(SUV·친환경차 등) 차종 수출확대로 對美·중동 수출이 늘어나며 5개월 연속 수출증가사상 최고실적 경신
    • 수출증감률 추이(%) : (‘22.7월)+25.2 → (8월)+35.8 → (9월)+34.3 → (10월)+28.4 → (11월)+31.0
  • (자동차부품) 부품수급 개선 등 영향으로 현지 진출한 우리 완성차 업계, 현지 업계 생산확대되며 미국·중남미 등 주요시장으로의 수출 증가
    • 주요국 차부품 수출증감률(11.1~25일, %) : (미국)+20.5, (중남미)+39.5, (아세안)+30.4
    • 수출증감률 추이(%) : (‘22.7월)+2.1 → (8월)+13.9 → (9월)+8.6 → (10월)+3.1 → (11월)+0.9
  • (선박) 전년동월 대형 플랜트 수출(25억 달러)에 따른 기저효과감소
    • 선박 수주량·비중(만CGT) : (‘20.下)691(46%) → (‘21.上)1,084(36%) → (‘21.下)657(32%) → (‘22.上)979(45%)

新산업

  • (이차전지) 선진시장 친환경 정책 확산에 따른 전기차 수요 증가로 주요 완성차 업계가 전기차 생산확대하는 추세 → 역대 11월 중 1위 기록
    • 역대 11月 이차전지 수출액(억 달러) : (‘20년)6.83 → (‘21년)7.34 → (‘22년)7.38
  • (바이오헬스) 코로나 확산세 진정으로 작년 수출증가를 주도했던 백신·진단키트 수출줄어들면서 수출 감소(△28.0%)
    • 수출증감률 추이(%) : (‘22.7월)△12.2 → (8월)△0.1 → (9월)△4.8 → (10월)△18.7 → (11월)△27.3

5대 주요 수출입 동향 수출품목 규모 및 증감률

순번 품목 ’21.11 ‘22.9 ‘22.10 ‘22.11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12,036 40.0 11,498 △5.6 9,228 △17.4 8,454 △29.8
2 자동차 4,120 3.3 4,779 34.3 4,916 28.4 5,398 31.0
(전기차) 744 51.6 796 22.3 840 14.5 933 25.3
3 석유제품 3,871 120.7 5,276 47.6 4,395 7.7 4,879 26.0
4 일반기계 4,405 11.7 3,998 △1.9 3,915 △3.4 4,331 △1.7
5 석유화학 4,833 62.8 4,066 △15.2 3,733 △25.5 3,552 △26.5
6 철  강 3,340 45.7 2,686 △21.2 2,667 △20.7 2,986 △10.6
7 자동차부품 1,842 △2.2 2,014 8.6 1,841 3.1 1,857 0.9
8 디스플레이 2,132 10.4 1,741 △19.9 1,813 △7.9 1,799 △15.6
(OLED) 1,532 14.0 1,367 △15.6 1,447 3.8 1,427 △6.8
9 무선통신기기 2,008 15.1 1,671 △7.7 1,793 △5.5 1,632 △18.7
10 선  박 3,527 237.7 1,191 14.9 1,502 △2.6 1,121 △68.2
11 바이오헬스 1,416 △0.5 1,324 △4.8 1,072 △18.7 1,030 △27.3
12 섬  유 1,192 16.9 966 △5.6 922 △19.1 953 △20.0
13 컴퓨터 1,723 74.0 1,415 △23.7 902 △37.1 861 △50.1
14 이차전지 734 7.5 944 30.6 800 16.7 738 0.5
15 가  전 782 21.2 665 △8.2 622 △22.3 586 △25.0
전 체 60,331 31.9 57,208 2.3 52,483 △5.7 51,914 △14.0

관련 게시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