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2022년 11월 소비자물가 동향

11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비 5.0% 상승(전월비 △0.1% 하락),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는 전년동월비 4.8% 상승(전월비 0.3% 상승) 22.4월(4.8%, 전년동월비) 이후 가장 낮은 수준 기록하였습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동월비 5.5% 상승, 신선식품지수는 전년동월비 0.8% 상승하였다고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하였습니다.

2022년 11월 소비자물가 동향
2022년 11월 소비자물가 동향

11월 소비자물가

11월 소비자물가농축산물 가격큰 폭 하락 석유류 가격 지속 안정세 등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5.0% 상승

(%) ‘21.11 12 ‘22.1 2 3 4 5 6 7 8 9 10 11
전년동월비 3.8 3.7 3.6 3.7 4.1 4.8 5.4 6.0 6.3 5.7 5.6 5.7 5.0
전월비 0.5 0.2 0.6 0.6 0.7 0.7 0.7 0.6 0.5 △0.1 0.3 0.3 △0.1
  • (농축수산물) 배추 등 채소 및 과일류 전반적 수급 개선 등으로 안정세를 보이며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 큰 폭 축소[전년동월비 (10월)5.2→(11월)0.3%]
  • (석유류) 중국 코로나방역 강화수요 감소국제유가 안정세를 이어가며 석유류 전년동월비 가격 오름폭 지속 둔화[10.7→5.6%]
  • (개인서비스) 11월 국내 여가수요 비수기로 인해 외식제외 서비스 가격 상승폭둔화되는 등 개인서비스 물가 오름세 소폭 둔화[6.4→6.2%]
품목별 상승률(%) 전체 농 축 수산물 공업 제품 전기가스 수도 집세 공공 서비스 개인 서비스
외식 외식 제외
석유류
10월 전년동월비 5.7 5.2 6.3 10.7 23.1 1.7 0.8 6.4 8.9 4.6
(기여도,%p) 0.5 2.2 0.5 0.8 0.2 0.1 2.0 1.1 0.8
11월 전년동월비 5.0 0.3 5.9 5.6 23.1 1.6 0.8 6.2 8.6 4.5
(기여도,%p) 0.0 2.1 0.3 0.8 0.2 0.1 1.9 1.1 0.8
전월비(%) △0.1 △4.3 0.8 0.3 0.0 0.1 0.0 0.0 0.3 △0.2
(기여도,%p) △0.4 0.3 0.0 0.0 0.0 0.0 0.0 0.0 0.0

근원물가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는 오름세 유지[4.8→4.8%]

  •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상승률로 전체 458개 품목 중 농산물과 석유류 관련 품목을 제외한 401개 품목으로 구성
(전년동월비, %) ‘21.11 12 ‘22.1 2 3 4 5 6 7 8 9 10 11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 2.4 2.7 3.0 3.2 3.3 3.6 4.1 4.4 4.5 4.4 4.5 4.8 4.8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 1.9 2.2 2.6 2.9 2.9 3.1 3.4 3.9 3.9 4.0 4.1 4.2 4.3

생활물가지수

생활물가지수농축수산물 가격 하락 영향으로 식품 물가 중심으로 가격오름세 둔화[6.5→5.5%]

  • 전체 458개 품목 중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작성
  • 전년동월비(%, 10→11월) : (식품)8.3→6.3 (식품이외)5.3→5.0

신선식품지수

신선식품지수*배추·무 김장채소 수급개선에 따른 채소류 가격 하락제철과일 출하증가 등으로 상승폭 큰 폭 축소[11.4→0.8%]

  •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일 등 계절 및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
  • 전년동월비(%, 10→11월) : (신선어개)6.6→6.8 (신선채소)21.7→△2.8(신선과실)4.2→0.8
(전년동월비, %) ‘21.11 12 ‘22.1 2 3 4 5 6 7 8 9 10 11
생활물가지수 5.2 4.6 4.1 4.1 5.0 5.7 6.7 7.4 7.9 6.8 6.5 6.5 5.5
신선식품지수 5.6 6.7 6.0 △0.9 △2.2 1.0 2.5 5.4 13.0 14.9 12.8 11.4 0.8

11월 소비자물가 상승폭 둔화 흐름

11월 소비자물가는 배추・무 등 채소류 중심농산물 수급여건 개선등으로 물가상승폭 둔화 흐름이 이어짐

  • 특히, 서민생활과 직결된 생활물가지수가 식품물가 중심으로 가격오름세가 큰 폭 둔화된 것은 긍정적 신호
  • 다만, 연말연초 제품가격 조정, 화물연대의 집단운송 거부에 따른 물류 차질 등 대내외 리스크가 여전히 잠재되어 있어 계속해서 예의주시 필요

관련 게시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