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2022년 11월 노동시장 동향

2022년 11월 노동시장 동향에 대해 알아봅시다. 2022년 11월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495만 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1만 9천명(+2.2%) 증가하였습니다. 산업별로는 보건복지(+71천명), 제조업(+67천명), 출판영상통신(+58천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43천명), 숙박음식(+43천명) 등에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2022년 11월 노동시장 동향
2022년 11월 노동시장 동향

고용보험 가입자수 현황

제조업

(전체) 제조업 가입자수는 369만 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만 7천명 증가하면서 2021년 1월 이후 23개월 연속 증가

  • 경기둔화, 생산 및 수출 감소 등 어려운 여건에도 가입자수 증가 지속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수 및 증감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수 및 증감

(중분류) 전자통신, 금속가공, 식료품, 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대부분 증가 지속하였고, 의복·모피, 섬유감소

제조업 중분류별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
제조업 중분류별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

<식료품> 도시락, 반조리식품 등에 대한 꾸준한 수요로 증가 지속

  • 식료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9.1→ (8)10.0→ (9)9.6→ (10)9.1→ (11)8.4
  • 기타식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5.5→ (8)6.0→ (9)6.0→ (10)5.8→ (11)5.1

<섬유제품><의복·모피> 원부자재, 물류비 상승,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 위축 등으로 감소 지속

  • 섬유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0.9→ (8)-1.1→ (9)-1.3→ (10)-1.5→ (11)-2.0
  • 직물및직조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0.1→ (8)-0.2→ (9)-0.3→ (10)-0.4→ (11)-0.8
  • 기타섬유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0.6→ (8)-0.6→ (9)-0.7→ (10)-0.5→ (11)-0.6
  • 의복,모피 제조업 증감(천명): (‘22.7)-1.2→ (8)-1.1→ (9)-1.2→ (10)-1.1→ (11)-1.1
  • 봉제의복 제조업 증감(천명): (’22.7)-1.1→ (8)-1.0→ (9)-1.0→ (10)-1.1→ (11)-1.0

<화학제품> 이차전지 소재, 특수가스 등 첨단소재 중심으로 증가 지속하고 있으나, 일부 사업장 산업분류 변경 영향으로 증가폭 둔화

  • 화학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7.6→ (8)6.4→ (9)6.1→ (10)6.0→ (11)3.9
  •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증감(천명): (‘22.7)2.5→ (8)2.2→ (9)2.3→ (10)2.4→ (11)2.3
  • 기타 화학제품 제조업(천명): (’22.7)2.2→ (8)2.1→ (9)1.9→ (10)1.9→ (11)0.4

<의약품><의료·정밀기기󰀺> 수출 감소 확대, 경쟁 심화에 따른 의약품 가격 하락 압박 등 어려움이 있으나 내수 호조 등에 힘입어 증가 지속

  • 의약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2.2→ (8)2.0→ (9)2.1→ (10)2.0→ (11)2.2
  • 의료,정밀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2.7)3.6→ (8)3.8→ (9)3.2→ (10)3.0→ (11)3.0
주요 제조업 중분류별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 추이
주요 제조업 중분류별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 추이

<고무, 플라스틱>자동차, 전자통신 전방산업 업황 호조에 따른중간재 수요로 플라스틱제품 중심으로 증가 지속

  • 고무,플라스틱제품제조업증감(천명):(’22.7)5.1→ (8)4.5→ (9)4.1→ (10)3.8→ (11)3.1
  • 플라스틱제품제조업 증감(천명): (’22.7)4.4→ (8)4.0→ (9)3.5→ (10)3.3→ (11)2.6

<전기장비><기계장비> 전기장비일·이차전지를 중심으로 증가 지속, 기계장비인프라 투자 확대에 힘입어 증가 지속

  • 전기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2.7)8.9→ (8)8.4→ (9)8.0→ (10)5.9→ (11)3.9
  • 기계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2.7)9.0→ (8)9.0→ (9)10.2→ (10)8.5→ (11)7.1

<전자·통신> 고급 가전 및 디지털 전환(데이타센터 등)에 따른 수요반도체, 전자부품, 통신, 영상 및 음향기기 등을중심으로 증가 지속

  • 전자통신 제조업 증감(천명):(‘22.7)15.4→ (8)15.9→ (9)14.2→ (10)16.5→ (11)15.4
  • 반도체제조업 증감(천명):(‘22.7)3.1→ (8)3.3→ (9)3.6→ (10)3.8→ (11)3.7
  • 전자부품 제조업 증감(천명):(‘22.7)2.9→ (8)3.0→ (9)2.4→ (10)1.9→ (11)1.6
  • 통신및방송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2.7)4.7→ (8)5.0→ (9)4.7→ (10)4.8→ (11)3.7
  • 영상및음향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2.7)4.7→ (8)4.7→ (9)3.5→ (10)6.0→ (11)6.7

<1차 금속> 수출감소, 전방수요(건설 등) 위축 등 어려운 여건에도 증가 유지

  • 1차 금속제품 제조업 증감(천명):(‘22.7)5.0→ (8)5.3→ (9)2.3→ (10)2.3→ (11)2.2
  • 1차 철강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21.10)94.9, (‘22.8)91.0→ (9p)71.6→ (10p)71.1
  • 철강제품 수출액 증감률(%):(‘21.11)45.7, (’22.9)-21.2→ (10)-20.7→ (11)-10.6

<금속가공> 글로벌 인프라 투자, 제조업 중간재(자동차, 전자부품, 기계장비) 등 금속가공 수요에 힘입어 증가 지속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9.6→ (8)10.1→ (9)10.2→ (10)10.5→ (11)11.6
  • 구조용금속가공제품제조업 증감(천명): (‘22.7)2.7→ (8)2.9→ (9)2.9→ (10)3.0→ (11)2.8
  • 기타금속가공제품제조업 증감(천명): (‘22.7)6.8→ (8)7.0→ (9)7.1→ (10)7.4→ (11)7.0

<기타운송장비>원자재가격 상승, 지속적인 구인난 등 어려움이 있으나 선박 건조량 증가에 힘입어 증가, 조선업 회복 중이나 감소 지속

  • 기타운송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2.7)-0.8→ (8)-0.7→ (9)0.0→ (10)0.3→ (11)0.5
  • 선박및보트건조업 증감(천명): (‘22.7)-1.5→ (8)-1.3→ (9)-0.6→ (10)-0.3→ (11)-0.1
  • 선박및보트건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10)56.2, (‘22.8)59.9→ (9p)58.7→ (10p)64.1
  • 선박 수주량(만CGT): (’21년 上)1,084→ (’21년 下)657→ (’22년 上)979

<자동차> 차량용 반도체 수급 상황 개선, 전동화 부품 사업 확장자동차부품을 중심으로 증가폭 확대

  • 자동차 제조업 증감(천명):(‘22.7)1.3→ (8)1.2→ (9)2.3→ (10)1.8→ (11)4.5
  • 완성차제조업 증감(천명):(‘22.7)0.8→ (8)1.0→ (9)1.1→ (10)0.3→ (11)-0.2
  • 자동차부품제조업 증감(천명):(‘22.7)0.4→ (8)0.3→ (9)1.2→ (10)1.5→ (11)4.7
주요 제조업 중분류별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 추이
주요 제조업 중분류별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 추이

서비스업 노동시장 동향

(전체) 서비스업 가입자수 1,033만 2천명, 전년동월대비 22만 6천명 증가하였으며, 서비스업 가입자는 증가폭 둔화되고 있습니다.

  • 보건복지는 올해 조기 착수한 노인일자리사업이 종료되면서 증가폭 둔화,도소매는 무점포 소매업, 편의점 등을 중심으로 증가폭 둔화
  • 공공행정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확대되었던 직접일자리사업 축소로 감소 지속
구 분 ’20.11월 ’21.11월 ’22.7월 ’22.8월 ’22.9월 ’22.10월 ’22.11월p)
서비스업 증감 411 210 318 315 272 251 226
도소매 5 46 24 18 15 9 4
운수업 -9 -4 13 12 12 12 13
숙박음식 -23 -3 40 45 45 46 43
출판,통신,정보 33 60 65 65 62 61 58
금융보험 3 5 3 3 2 3 4
부동산임대 6 7 6 6 5 8 5
전문과학기술 63 43 48 48 47 47 43
사업서비스 -5 5 28 28 21 19 18
공공행정 205 -129 -32 -26 -47 -55 -46
교육서비스 24 52 24 20 19 12 9
보건복지 103 117 84 82 80 79 71
예술,스포츠 -3 5 11 12 10 9 7
협회,개인서비스 3 3 1 1 1 -1 -2

(중분류) 소매업이 이번달들어 감소 전환된 가운데, 사회복지업, 교육서비스대부분 업종에서 증가폭 둔화

<도매업> 음식료품 및 담배, 기계장비 및 관련 물품 도매업 등을 중심으로 증가 지속

  • 음식료품및담배 도매업 증감(천명): (’22.7)2.1→ (8)1.8→ (9)2.6→ (10)2.4→ (11)2.7
  • 기계장비및관련물품 도매업 증감(천명): (’22.7)2.6→ (8)2.1→ (9)2.1→ (10)1.6→ (11)1.4

<소매업> 무점포 소매업(온라인쇼핑) 감소폭 확대, 편의점 증가폭 축소 등으로 이번달들어 감소로 전환

  • 소매업 증감(천명): (‘22.7)15.3→ (8)11.7→ (9)7.3→ (10)3.4→ (11)-0.9
  • 무점포 소매업 증감(천명): (‘22.7)5.1→ (8)2.8→ (9)0.8→ (10)-1.1→ (11)-2.5
  • 종합 소매업 증감(천명): (‘22.7)7.1→ (8)6.0→ (9)4.0→ (10)2.1→ (11)0.6

<육상운송업> 택시 등 중심으로 감소폭 둔화세

  • 육상운송·파이프라인운송업 증감(천명): (‘22.7)-3.6→ (8)-3.9→ (9)-3.3→ (10)-2.2→ (11)-1.8
  • 택시 증감(천명): (‘22.7)-5.5→ (8)-5.5→ (9)-4.9→ (10)-4.0→ (11)-3.7
  • 시외버스 증감(천명): (‘22.7)-1.3→ (8)-1.3→ (9)-1.2→ (10)-1.1→ (11)-0.9

<항공운송업> 해외여행 수요 급증에도 국제선 여객수가 코로나 이전 대비 크게 낮은 수준(’19.10월대비 34.3% 수준)이며,운항 정상화에 필요한 인력은 휴직인원 복직으로 충원하고 있어 감소 지속

  • 항공운송업 증감(천명): (‘22.7)-0.9→ (8)-0.8→ (9)-0.8→ (10)-0.6→ (11)-0.5
  • 10월 국제선 여객수(천명): (’19)7,352→ (’20)196→ (’21)310→ (’22)2,523

<창고·운송관련서비스업> 물류대행서비스 확장 등으로 증가 지속

  • 창고·운송관련 증감(천명): (‘22.7)17.7→ (8)16.5→ (9)15.4→ (10)14.9→ (11)14.6
  • 항공및육상화물취급업 증감(천명): (‘22.7)12.8→ (8)11.8→ (9)10.9→ (10)10.0→ (11)9.1

<숙박업><음식·음료업> 대면활동 정상화 등으로 증가 지속

  • 숙박업 증감(천명): (‘22.7)3.9→ (8)3.9→ (9)4.4→ (10)4.5→ (11)4.6
  • 숙박업 생산지수(계절조정) : (’21.10)80.0→ (’22.8)105.1→ (9p)103.3→ (10p)95.6
  • 11월 숙박업 가입자수(천명): (’19)79→ (’20)72→ (’21)72→ (’22)76
  • 음식·음료업 증감(천명): (’22.7)36.1→ (8)40.8→ (9)40.6→ (10)41.6→ (11)38.0
  • 음식점업 증감(천명): (‘22.7)23.4→ (8)26.5→ (9)26.3→ (10)27.6→ (11)25.3
  • 주점및비알콜음료점업 증감(천명): (‘22.7)12.7→ (8)14.3→ (9)14.3→ (10)14.0→ (11)12.7

<금융업>자산운용회사, 신용조합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

  • 금융업 증감(천명): (‘22.7)1.8→ (8)1.5→ (9)1.3→ (10)1.9→ (11)2.3
  • 은행 및 저축기관 증감(천명): (‘22.7)-0.5→ (8)-1.2→ (9)-1.3→ (10)-1.3→ (11)-0.5
  • 투자기관 증감(천명): (‘22.7)1.3→ (8)1.3→ (9)1.4→ (10)1.4→ (11)1.3
  • 기타금융업 증감(천명): (‘22.7)1.1→ (8)1.4→ (9)1.3→ (10)1.8→ (11)1.5

<출판업><컴퓨터프로그래밍,시스템통합및관리><정보서비스업> 비대면 서비스 수요 증가, 클라우드 이용 확대, 보안 솔루션 도입 확대 등으로 소프트웨어 관련 업종 증가 지속

  • 출판업 증감(천명): (‘22.7)39.9→ (8)39.0→ (9)38.6→ (10)38.5→ (11)37.1
  • 컴퓨터프로그래밍,시스템통합및관리업 증감(천명): (‘22.7)6.3→ (8)6.7→ (9)6.5→ (10)6.4→ (11)6.3
  • 정보서비스업 증감(천명): (‘22.7)9.8→ (8)9.7→ (9)8.4→ (10)8.4→ (11)7.8

<영상·오디오기록물제작배급업> 영화·방송·광고 제작업 등에서 증가를 지속하는 가운데, 영화관운영업 기저효과 등으로 증가 지속

  • 영상·오디오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증감(천명): (‘22.7)8.5→ (8)8.4→ (9)7.5→ (10)6.4→ (11)6.0
  • 영화관운영업 증감(천명): (‘22.7)4.3→ (8)4.5→ (9)3.6→ (10)2.7→ (11)2.0

<연구개발업><전문서비스업><건축기술및기타과학기술> 기타공학, 약학연구개발업, 기타산업 회사본부, 건축설계 관련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 지속

  • 연구개발업 증감(천명): (‘22.7)10.7→ (8)11.4→ (9)11.2→ (10)11.2→ (11)11.0
  •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증감(천명): (‘22.7)9.2→ (8)9.6→ (9)9.5→ (10)9.3→ (11)9.0
  • 전문서비스업 증감(천명): (‘22.7)13.2→ (8)12.8→ (9)12.7→ (10)12.9→ (11)10.5
  • 기타산업회사본부 증감(천명): (‘22.7)2.2→ (8)2.7→ (9)2.1→ (10)2.6→ (11)2.1
  • 광고대행업 증감(천명): (‘22.7)2.5→ (8)2.2→ (9)2.4→ (10)1.9→ (11)1.9
  • 경영컨설팅업 증감(천명): (‘22.7)3.5→ (8)3.0→ (9)2.6→ (10)2.3→ (11)1.7
  • 건축및기타과학기술서비스업 증감(천명): (‘22.7)21.8→ (8)21.4→ (9)21.0→ (10)20.8→ (11)19.9
주요 서비스업 중분류별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 추이
주요 서비스업 중분류별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 추이

<공공행정>코로나19 대응 등을 위해 확대하였던 직접일자리 규모 축소감소 지속. 다만, 고용보험 가입자수는 코로나 이전보다 더 많음

  • 공공행정 증감(천명) : (‘22.7)-32.3→ (8)-25.7→ (9)-47.3→ (10)-54.5→ (11)-46.5

<교육서비스업> 대학교기타 교육기관(스포츠 교육기관, 직원훈련기관)등에서 감소하면서 증가폭 둔화

  • 교육서비스업 증감(천명): (‘22.7)23.9→ (8)20.1→ (9)18.8→ (10)12.3→ (11)9.1
  • 초등교육기관 증감(천명): (‘22.7)6.5→ (8)4.9→ (9)4.6→ (10)3.8→ (11)4.1
  • 중등교육기관 증감(천명): (‘22.7)7.2→ (8)6.3→ (9)5.7→ (10)4.6→ (11)5.0
  • 고등교육기관 증감(천명): (‘22.7)-0.9→ (8)-0.8→ (9)-1.8→ (10)-1.6→ (11)-2.5
  • 기타교육기관 증감(천명): (‘22.7)4.3→ (8)2.9→ (9)4.5→ (10)0.1→ (11)-1.9

<보건업><사회복지업> 보건·돌봄·사회복지 수요 등으로 증가 지속하나, 올해 조기 착수한 노인일자리사업이 종료되면서 사회복지업 증가폭 둔화

  • 보건업 증감(천명) : (‘22.7)24.0→ (8)23.7→ (9)24.3→ (10)24.3→ (11)26.1
  • 병원 증감(천명): (‘22.7)7.7→ (8)7.7→ (9)8.8→ (10)8.5→ (11)9.8
  • 의원 증감(천명): (‘22.7)16.4→ (8)16.1→ (9)16.2→ (10)16.7→ (11)16.6
  • 사회복지업 증감(천명) : (‘22.7)59.6→ (8)58.5→ (9)55.4→ (10)55.0→ (11)45.1
  • 비거주복지시설 증감(천명): (‘22.7)46.9→ (8)46.4→ (9)43.5→ (10)42.9→ (11)34.8

<사업시설관리및조경서비스업> 건축물 일반 청소업 중심으로 증가폭 둔화

  • 사업시설관리및조경서비스업 증감(천명): (‘22.7)6.2→ (8)6.5→ (9)5.9→ (10)6.0→ (11)3.9

<사업지원서비스업> 코로나 일상회복으로 여행업은 증가세이며,인력공급업 등을 중심으로 증가 지속

  • ‘22.2월 사업장 산업분류 변경(사업시설 유지관리 → 경비, 경호 및 탐정업 이동, +1.1천명)
  • ‘22.11월 사업장 산업분류 변경(부동산업 → 경비, 경호 및 탐정업 이동, +1.6천명)
  • 사업지원서비스업 증감(천명): (‘22.7)21.6→ (8)21.6→ (9)14.8→ (10)13.5→ (11)13.6
  • 인력공급 및 고용알선업 증감(천명): (‘22.7)11.4→ (8)11.9→ (9)7.2→ (10)6.7→ (11)6.6
  • 경비, 경호및탐정업 증감(천명): (‘22.7)3.5→ (8)3.4→ (9)3.1→ (10)2.8→ (11)4.8
  • 기타 사업지원서비스업 증감(천명): (‘22.7)6.7→ (8)5.7→ (9)3.8→ (10)3.0→ (11)1.1
  • 여행사및기타여행보조서비스업 증감(천명): (‘22.7)0.0→ (8)0.5→ (9)0.8→ (10)1.0→ (11)1.2

<협회 및 단체> 전문가 단체, 시민운동 단체 등을 중심으로 감소

  • 협회 및 단체 증감(천명): (‘22.7)1.3→ (8)0.5→ (9)0.2→ (10)-1.7→ (11)-2.5
  • 산업 및 전문가 단체 증감(천명): (‘22.7)0.1→ (8)-0.1→ (9)-0.3→ (10)-1.0→ (11)-1.3
  • 기타협회 및 단체 증감(천명): (‘22.7)1.0→ (8)0.5→ (9)0.4→ (10)-0.9→ (11)-1.3

2022년 11월 노동시장 정리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11월 노동시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노동시장 산업별로는 보건복지(+71천명), 제조업(+67천명), 출판영상통신(+58천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43천명), 숙박음식(+43천명) 등에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제조업은 생산 및 수출 감소 등 어려운 여건에도 전자통신, 금속가공, 식료품, 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2021년 1월이후 증가 지속 중이며, 서비스업도 비대면 수요 증가와 대면활동 정상화 등으로 대부분 업종에서 증가하였습니다.

  • 제조업 가입자수 증감(천명): (’22.7)79→ (8)78→ (9)74→ (10)72→ (11)67
  • 서비스업 가입자수 증감(천명): (’22.7)318→ (8)315→ (9)272→ (10)251→ (11)226
고용보험 가입자수 및 증감 추이
고용보험 가입자수 및 증감 추이

다만, 사회복지업, 제조업, 도소매(무점포소매업, 편의점) 등 대부분 업종에서 증가폭이 둔화되고, 공공행정은 큰 폭으로 감소 지속하면서 전체 가입자 증가폭도 둔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산업별 가입자 증감
산업별 가입자 증감

11월 중 구직급여 신규신청자는 8만 6천명으로 공공행정(-3천명), 제조업(-1천명)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3천명(-3.3%) 감소하였습니다.

  • 구직급여신규신청자수 증감(천명): (’22.7)-7→ (8)-3→ (9)2→ (10)-2→ (11)-3

구직급여 지급자는 51만 4천명으로 2만 3천명(-4.3%) 감소하였고, 지급액은 7,970억원으로 254억원(-3.1%) 감소하였으며, 지급 건수당 지급액은 약 139만원으로 전년동월대비 0.6% 증가하였습니다.

관련 게시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