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박일준 제2차관은 11.27.(일) 대한송유관공사 판교저유소현장을 방문하여 화물연대 파업 관련 휘발유, 경유 등 국내 석유제품 출하 현장을 점검하였습니다. 판교저유소는 ‘97년 6월 준공되어, 저장탱크 40기, 총 2,179천 배럴의저유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수도권 전체 소비량의 약 60%를 담당하고 있는 대한송유관공사의 핵심 거점시설입니다. 금번 현장점검에서는 판교저유소 등 전국 저유소 파업현황 및 석유제품 입·출하 현황을 점검하는 한편, 현장 임·직원을 격려하고, 애로사항을청취하였습니다.

판교저유소 현장점검 개요
2차관, 화물연대 파업 관련 판교저유소 현장점검
국내 석유수급 차질 없도록 정부와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 당부
정유업계 비상상황반」 구성·운영, 입출하 현황 등 모니터링 강화
- 일시 / 장소 : ‘22. 11. 27(일) 15:00~15:30 / 판교저유소
- 참석자 : 박일준 제2차관, 석유산업과장, 분당경찰서 정보과장 대한송유관공사 안전·운영본부장, 남부·중부운영실장, 기업문화실장 등
- 주요내용 : 판교저유소 파업현황 및 석유제품 입출하현황 점검, 현장 임·직원 격려 및 애로사항 청취 등
대한송유관공사 브리핑
대한송유관공사는 이날 현장 브리핑을 통해, 11.24(목) 화물연대 파업 이후 출하 물량이 평시 대비 감소하였으나, 이는 탱크로리 운행 제한 외에도 파업에 대비하여 저유소 사전 출하량이 대폭 증가한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전국 11개 저유소의 수송·저장 등은 정상 운영 중인 상황임을 설명하였으며, 내부 비상대응 조직을 운영 중으로, 비상시 신속하게 출하될 수 있도록 산업부·경찰청 및 정유업계와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정부 정유업계 비상상황반
산업통상자원부도 11.24(목) 화물연대 파업 이후 즉각적으로 「정유업계 비상상황반 (반장 : 자원산업정책국장)」을 구성·운영 중으로, 탱크로리 파업참여 현황 및 정유공장·저유소 등 주요거점별 입·출하 현황, 주유소 재고 등에 대해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등 국내 석유제품 수급차질을 방지하기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파업 이전부터 정유·주유업계의 사전재고 확충 노력등으로 전국 주유소에서 추가공급 없이도 약 1~2주 간 지속 가능한 물량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 중에 있으나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에는 판매량이 많은 주유소부터 점차 재고 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업계와 함께 파업 현황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재고가 부족한 주유소는 탱크로리를 우선배차 하는 등 파업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관련 게시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