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보이스피싱을 방지하기 위한 4가지 필수 정보

최근 메신저 피싱 피해가 급증하고, 코로나19 등 사회적 이슈를 악용한 새로운 형태의 사기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피해 방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보이스피싱 사례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알아야 할 사항, 피해를 받았을 때 대처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보이스피싱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 정보
보이스피싱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 정보

보이스피싱 현황

피해금액은 총 1,682억원으로 전년(2,353억원) 대비 671억원( 28.5%) 감소하였으며, 이 중 피해자에게 반환 된 금액은 603억원으로 환급률(환급액/손실액)은 35.9%입니다.

  • 피해금액은 대폭 감소
  • 메신저피싱 피해가 급증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

최근 보이스피싱의 주요 특징

메신저피싱 피해 급증

코로나19 이후 메신저를 통한 비대면 채널 이용이 증가하고 사기 수법이 대출빙자형에서 메신저 피싱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 메신저피싱 피해액은 991억원으로 전년대비 165.7%(+618억원) 급증
  • 피해비중은 58.9%에 달함
보이스피싱 유형별 피해 현황
보이스피싱 유형별 피해 현황

메신저피싱 피해 사례

메신저피싱 피해는 주로 고령층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사기범이자녀를사칭함으로써 부모의 이성적 판단이 와해 되는 취약점을 공략하여 피해자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도난 당한 신분증, 본인 인증번호 등으로 계좌 잔액을 인출합니다.

  • 문자나 카카오톡을 통해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하여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비상시 송금을 요청
  • 본인의 휴대폰 고장, 신용카드 도난· 분실, 사고 합의금 명목의 급전 필요 요구

사기범은 12월 21일 A씨(62·주부)의 딸로 위장해 “휴대폰이 고장 나서 급하게 휴대폰 보험을 신청해야 한다”고 전달했고 이후 피해자는 사기범으로부터 받은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악성 링크를 클릭하여 원격 제어 앱이 설치됐습니다. 피해자의 휴대폰에 설치된 금융 앱을 원격에서 접근하여 오픈뱅킹 서비스를 통해 사기 계좌로 이체해 총 2억 6700만원을 편취했습니다.

사회적 이슈를 이용한 신종 사기수법 성행

코로나19 관련 예방접종, 재난지원금, 대선 투표 등 대중의 관심이 높은 주제를 이용한 새로운 사기가 발생했습니다.

사기수법

  • 백신접종 : 백신접종 확인서 발급 및 검역증명서 발급을 가장하여 개인정보를 입력하거나 악성 URL 주소를 발송하여 원격 제어 앱 설치를 유도하는 행위
  • 재난지원금, 소상공인 정책자금 : 일시적인 특별 대출로 소비자가 기존 대출을 상환한다는 명목으로 개인 정보를 요구하거나 금품을 갈취하도록 유인
  • 선거 여론조사 사칭 : 여론조사기관을 사칭하여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행위

대출빙자형 피해 사례

금융회사를 사칭한 사기범이 정부가 지원하는 코로나19 관련 정책 보조금 신청을 받는다고 주장하며 대출 심사를 위해 개인 정보와 선납금을 요구

2022년 OO은행을 사칭한 사기범이 피해자 C(46세, 자영업자)에게 정부 지원 소상공인 코로나19 정책자금 대출 신청을 받는다는 문자 메시지와 악성 링크를 함께 보냈습니다. 이에 피해자는 사기범이 제공한 악성 링크에 접속해 개인정보를 입력한 뒤 사기 계정으로 1500만원을 이체했습니다.

비은행 금융회사를 통한 피해 증가

저금리로 대출금을 상환할 수 있다고 속이고 기존 대출금 상환금을 사기계좌로 이체하도록 유도하여 피해를 발생시킵니다. 현재, 증권사 등 비은행권 비대면 계좌개설과 오픈뱅킹을 통한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은행 피해액 : 1,080억원으로 전년대비 38.1%( 665억원) 감소
  • 증권사 피해액 : 220억원으로 전년(90억원) 대비 144.4%(+130억원) 급증
금융권역별 보이스피싱 피해금액 현황
금융권역별 보이스피싱 피해금액 현황

저금리로 대환 대출 피해 사례

11월 21일 D씨(56세, 자영업)은 온라인으로 저리 대출을 찾던 중 대출 관련 커뮤니티 게시판에서 저리 대출에 대한 글을 보고 메신저로 연락했습니다. 사기범은 피해자의 기존 대출금을 먼저 상환해야 한다며 기대출금액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을 변제 목적으로 사기 계좌로 이체 해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이에 피해자는 총 27,000만원을 송금했고 사기범은 이를 편취하고 잠적했습니다.

고령자와 금융취약층 대상 피해

2019년부터 60세 이상 인구 비율이 비교적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40·50대 873억원(52.6%), 60대 614억원(37.0%), 20·30대 173억원(10.4%)의 피해금액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연령별 보이스피싱 피해금액 현황
연령별 보이스피싱 피해금액 현황

보이스피싱 방지 방법

개인정보 및 자금이체 요구는 무조건 거부

기관금융회사는 대출안내, 개인정보, 자금, 뱅킹 앱 설치 등을 절대 요구하지 않습니다. 누군가에게 그런 문자나 전화를 받는다면 무조건 거부하세요

  • 범죄자들은 금융회사를 사칭하면서 가짜 모바일 뱅킹앱 설치를 유도
  • 금융회사 명의의 전화·문자 대출광고는 보이스피싱 사기일 가능성이 높음

대응 방법

사기범과 통화하거나 답장 문자를 보내 상담을 요청 하지 말고, 즉시 전화를 끊고 문자를 삭제

출처를 알 수 없는 URL은 절대 누르지 마세요

출처가 의심스러운 URL을 누를 경우 원격으로 제어되는 악성 앱을 설치되어 개인(신용) 정보를 유출되는 피해를 입힙니다.

대응 방법

수상한 사람이 보낸 URL절대 누르지 마시고, 가짜 금융 회사 앱 설치 요청은 응답하지 마세요

피해금을 송금했다면 즉시 계정 정지를 신청

피해금을 송금했다는 다음 절차에 따라 사기범의 출금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대응 방법

  • 금융회사 콜센터 연락 후 출금 중단 요청
  • 경찰청(☎112)이나 금융감독원(☎1332)에 전화해 납부 중단 요청

개인정보가 유출된 경우 조치

개인정보 노출사실 등록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다음 게시물을 확인해 주세요

https://www.tptmusk.net/%ea%b2%bd%ec%a0%9c/%ea%b0%9c%ec%9d%b8%ec%a0%95%eb%b3%b4%eb%85%b8%ec%b6%9c%ec%9e%90%ec%9d%98-%ea%b8%88%ec%9c%b5-%ed%94%bc%ed%95%b4-%eb%b0%8f-%ec%82%ac%ea%b3%a0-%ec%98%88%eb%b0%a9/

명의도용된 계좌 개설 여부 조회

  • 금융결제원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www.payinfo.or.kr) 접속
  • 주민번호 입력, 공동인증서 로그인 후 휴대전화 인증으로 본인 확인
  • ‘내계좌한눈에’메뉴 클릭하여 본인명의로 개설된 예금 · 대출 계좌 상세내역(은행, 계좌번호, 개설일, 잔고 등) 확인
  • 명의도용 계좌 개설 및 비대면 대출이 실행된 경우 즉시 해당 금융회사에피해사실 신고 및 지급정지 신청

명의도용된 휴대전화 개설 여부 조회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명의도용방지서비스(www.msafer.or.kr) 접속
  • 공동인증서 또는 카카오페이 인증으로 로그인
  • ‘가입사실현황조회 서비스’ 메뉴 클릭하여 본인명의로 개설된 휴대전화 개설여부를 확인
  • 명의도용 휴대전화가 개통된 경우 즉시 해당 이동통신사 등에 회선해지 신청 및 명의도용 신고
  • ‘가입제한 서비스’ 메뉴 클릭하여 본인명의 휴대전화 신규개설 차단

보이스피싱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 정보를 마치며

보이스피싱의 현황과 그 주요 특징을 살펴본았습니다. 메신저 피싱을 통한 신종 사기, 비은행 금융사기 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금융 사기를 방지하려면 특별한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금융 사기를 항상 경계하고 불필요한 손실을 피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